티스토리 뷰
북한 한국 무인기 드론 침투 삐라 도발
북한은 남한 국경을 따라 공격용 무기를 최고 경계 태세에 배치했습니다.
이는 북한이 남한이 무인기를 보내 자국 영공을 침범했다며 비난한 데 이어 나온 조치입니다.
적 무인기에서 살포된 삐라장들과 삐라 묶음 통.
지난 11일 북한이 한국이 무인기를 통해 평양 상공에 침범시켜서 정치 모략과 선동 삐라를 살포했단 입장을 보였다.
이에 응당 지위권에 따라 보복을 가해야 할 중대한 정치, 군사적 도발로 간주한다고 밝혔다.
한국 군은 당국 작전 차원에서 무인기를 군사 분계선 이북으로 보낸 적 없다고 부인했다.
또한 국민의 안전을 위협하면 군은 단호하고 철저히 응징한단 입장을 보였다.
이에 한반도 위기가 다시 고조되는 모양새를 보였다.
북한의 외무성은 이날 저녁 조선 중앙통신을 통해 발표한 주권 사수와 안전 수호의 방아쇠는 주저 없이 당겨질 것이란 제목의 중대 성명을 전했다.
한국은 3일과 9일에 이어 10일에도 심야 시간을 노려 무인기를 평양 중구역 상공에 침범시켜 수많은 반공화국 정치 모략과 선동 삐라를 살포한 천인공노할 만행을 감행했다고 주장했다.
남쪽에서 보낸 대북 전단이 기존의 대형 풍선이 아닌 드론에 실려왔고 군사 분곗너 인근 전방 지역을 넘어서 평양에 살포됐단 것이다.
국방부 장관 김용현은 이날 밤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국정 감사에서 의원들 질의를 받고 이렇게 대답했다.
그런 걸 보낸 적은 없다.
여러 가지에서 다양한 상황을 감안해야 한다.
북한 내부에서도 가능하다.
군은 정찰용 무인기를 수백대 운용 중인데 반경이 대부분 100km 이하다.
군사 분계선에서 200km 정도 떨어진 평양까지는 보내기 쉽지 않다.
고고도 무인 정찰기 글로벌 호크 4대는 북한 전역을 감시할 수 있다.
전략 임무를 수행 중인 글로벌 호크가 평시에 평양 상공에 들어갈 가능성은 거의 없다.
다만 한국 민간 단체가 드론에 대북 전단을 실어서 보냈거나 북한 내부의 반체제 세력이 했을 개연성이 존재한다.
결과적으로 국내 민간 단체, 반체제 세력 혹은 다른 어떤 부분일지도 모른다.
앞으로 북한 내부에서 무슨 변화가 있으려고 하는 걸까?
북한 한국 무인기 드론 침투 삐라 도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