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북한 노동자 중국 아프리카 폭동 파업
26일 북한 당국이 외화 벌이를 위해 파견한 노동자들이 중국에 이어서 아프리카에서도 폭동을 일으킨 것을 확인했다고 산케이 신문이 북한 사정에 밝은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해서 보도한 것으로 전해진다.
보도에 따르면 이렇다.
아프리카 콩고 공화국 건설 현장에서 일하는 북한 노동자 수십 명이 지난달로 예정된 귀국이 연기되자 이것에 반발하면서 폭동을 일으켰다.
앞서 외신은 북한 국방성 산하 업체가 노동자를 파견한 중국 지린성 허룽시 의류 제조 공장과 수산물 가공 공장에서 지난 1월 임금 체불 문제로 폭동이 처음 일어났다고 한다.
또한 중국 랴오닝성 단둥시 의류 공장에서도 지난달 2월 노동자 10명 정도가 출근을 거부하며 집단 파업을 이어 나갔다고 한다.
이 신문은 지난 1월 통일부 장관 특별 보좌역 고영환이 북산 소식통 등의 얘기를 토대로 작성한 보고서를 받았다며 지린성 폭동을 보도했다.
통일 연구원 선임 연구위원 조한범은 지난달 유튜브 채널을 통해서 단둥에서 북한 노동자 여러 명이 출근을 거부했다고 밝혔다.
산케이는 이렇게 짚었다.
"북한이 정보를 통제하지만 첫 폭동과 연관된 소문이 중국, 러시아 등에 있는 10만 명의 해외 파견 북한 노동자들 속에서 확산 중이다."
북한 당국이 지난 1월 지린성 폭동 이후에 밀린 임금을 주겠다고 약속하며 비밀경찰을 대거 파견해서 공장 간부랑 폭동 가담자를 조사했다고 한다.
"고문 포함 가혹한 조사로 공장에서 일하는 북한 대표가 다쳤다. 극단적 선택을 한 사람도 있었다. 북한 당국이 폭동을 주도한 200명 정도를 구속해 본국에 이송했는데 이들은 처형, 정치범 수용소에 보내져 엄벌을 받을 것으로 전해진다."
한 소식통은 지린성 폭동에 대해 이렇게 전했다.
"북한 당국에 충격이었던 건 장마당 세대라고 한 30세 전후가 폭동을 주도했단 점이다. 그들은 이전 세대랑 분명히 다르다."
장마당 세대는 지난 1990년 고난의 행군 시절에 태어나서 국가 배급 혜택을 못 받고 생활을 장마당이란 시장에 의존했다.
"열악한 주거 환경과 외출, 스마트폰 이용 금지 등 자유가 박탈된 것에 대한 불만도 지린성 폭동의 동기였다. 김정은 정권이 자본주의 사회를 동경하는 세대에 대해 통제를 강화하지만 젊은 층의 반발을 억누르지 못하는 것으로 보인다."
북한 노동자 중국 아프리카 폭동 파업